.jar
파일을 다운로드 받기 위함입니다.[중요] 9090번 포트가 반드시 열려 있어야 합니다(OS 무관)
최초 실행시 위와 같은 화면이 표시됩니다.
project.sic
파일을 열어주시면 됩니다코드 편집
좌측 탐색기
.out
: 어셈블러의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를 실행하면 각 어셈블리 파일에 대한 .obj
파일이 생성되고, 여러 .asm
파일을 실행하게 되면 링커가 동작하여 .out/linker
에 링킹이 완료된 최종 .obj
파일이 생성됩니다
.asm
: 일반적인 SIC, SICXE 어셈블리 코드 파일입니다. 클릭 시 해당 파일에 대한 편집기가 열리며, 코드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project.sic
: 프로젝트의 설정을 편집할 수 있습니다
.asm
파일을 실행한다면, 링킹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링킹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main 프로그램이 어느 것인지 지정해 줘야 하며, 값은 main 프로그램의 START label 이름으로 지정해주시면 됩니다.
.asm
파일 실행 시 무시됩니다.asm
파일을 파일 탐색기의 버튼으로 추가/삭제할 경우, 자동으로 추가/삭제됩니다.TD
RD
WD
명령어 사용에 필요한 디바이스를 파일 형태로 마운트합니다. 마운트할 경우 RD
WD
는 해당 파일의 내용이 한 글자씩 읽기/쓰기를 실행합니다.문법 오류 목록 : 문법 오류를 파일별로 표시합니다.
실행 메뉴
Timer Mode
프로젝트의 어셈블리 코드를 어셈블, 링킹, 로딩 후 한 줄씩 ‘자동으로(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실행합니다.
Timer Setting
Timer Mode의 시간 간격을 설정합니다
Run
프로젝트의 어셈블리 코드를 어셈블, 링킹, 로딩하지만, 자동으로 실행하지는 않습니다.
Architecture
문법 검사 및 어셈블/링킹/로딩 시 SIC를 사용할 것인지 SICXE를 사용할 것인지 선택합니다
Resume
Timer Mode로 복귀하여 계속 실행합니다
Step Over
다음 줄을 실행합니다. Timer 실행 중이 아닐때만 가능합니다.
Pause
Timer Mode를 일시정지합니다. Timer 실행 중일때만 가능합니다.
Rerun
현재 어셈블리 프로그램을 재실행합니다. 어셈블/링킹/로딩이 다시 이루어집니다.
Stop
현재 어셈블리 프로그램의 실행을 정지하고 초기 상태로 복귀합니다.
레지스터 SIC/XE의 각종 레지스터의 현재 값을 표시합니다. 값이 바뀐 레지스터는 주황색으로 점멸합니다.
메모리 뷰어
현재 SIC (SICXE) 머신의 메모리 상태를 볼 수 있습니다. 메모리 뷰어의 모든 주소와 값은 16진수입니다.
메모리 값이 바뀐 부분은 주황색으로 점멸하며, 실행 시 시작 주소로 자동 스크롤됩니다.
또한, WORD, BYTE, RESB, RESW등을 사용했다면 해당 변수들이 밑줄로 표시됩니다.
변수 뷰어
WORD, BYTE, RESB, RESW등을 사용하여 지정한 변수 저장 심볼의 값을 실행 시간에 추적합니다.
파일별로 표시하며, 값을 10진수, 16진수, 문자형으로 표시해줍니다
서버 로그
SIC/XE 백엔드(어셈블러, 링커, 로더, 시뮬레이터)의 stderr/stdout을 표시합니다. 기능에 문제가 있을 경우 Restart를 통해 재시작할 수 있습니다.
ListFile 뷰
실행 및 디버깅은 ListFile을 통해 하게 됩니다.
BreakPoint 지정, 현재 실행 위치(PC 위치, 파란색으로 Highlight 됨)를 볼 수 있으며,
Raw Code Binary, Instruction Binary, NIXBPE flags를 통해 어셈블 원리를 눈으로 볼 수 있습니다.